2025년 게이밍 노트북 추천: 최저가부터 RTX 5090까지
2025년은 RTX 50 그래픽이 출시하면서 게이밍 노트북의 옵션이 더욱 다양해졌다. 높은 사양의 게임 또는 고사양을 요구하는 그래픽 작업 및 AI 학습 연산을 사용해야 하는 환경에서 성능 유지와 발열 처리에 신경 쓴 게이밍 노트북은 좋은 선택으로 자리 잡고 있는데, 성능과 무게, 쿨링 및 디스플레이 품질, 가격 등 고려해야할 요소들이 상당히 많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서로 다른 구성의 5가지 게이밍 노트북 추천 제품을 제시하고, 제품 구매 시 고려하면 좋을 요소들을 정리한다.
MSI 씬 15
게이밍 노트북의 기본 사항을 만족하는 최저 가격의 노트북

- CPU : intel Core i5-12450H
- GPU : RTX 2050 4GB
- RAM : 16GB
- OS : Free DOS
- 디스플레이 : FHD 144Hz NTSC 45%
- 크기와 무게 : 15.6″ 1.86Kg
- 가격 : 687,260원
가장 낮은 가격의 신품 게이밍 노트북을 생각할 때 고려해 볼 수 있는 보급형 제품
MSI의 저가형 게이밍 노트북 라인 업 중 하나인 씬(Thin)은 국내에서 가장 낮은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게이밍 노트북이다. 낮은 색 재현율의 저가 패널을 사용하고, 전반적인 품질은 좀 낮은 점이 단점. 장점은 15.6인치 게이밍 노트북 치고는 적당한 무게(1.86Kg)와 낮은 가격이다.
RTX 2050은 시판되고 있는 RTX 그래픽 중 가장 낮은 등급이나 대부분의 고사양 게임 및 작업에서 쓸만한 수준이므로, 내장 그래픽은 다소 아쉬운데 예산을 크게 쓸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면 추천한다. 그래픽 성능을 좀 더 가져간다고 하면 가격은 오르지만 RTX 3050 모델 또는 더 올려서 RTX 4050 까지 고려 가능하며 이 경우 MSI 사이보그 제품이 있고 디스플레이가 나은 레노버 LOQ-e 가 저가형 게이밍 노트북으로 있다.
다만 최소 가격으로 고성능 초입의 제품을 찾는 다면 RTX 2050 기반 MSI 씬 제품을 고르는 것도 나쁘지 않다.
레노버 LOQ 15
최소한의 투자로 최대한의 GPU 성능 이득

- CPU : AMD Ryzen 7 7435HS
- GPU : RTX 4060 8GB 105W
- RAM : 12GB
- OS : Free DOS
- 디스플레이 : FHD 144Hz sRGB 100%
- 크기와 무게 : 15.6″ 2.38Kg
- 가격 : 1,104,050원
적당한 가격으로 최대한의 GPU 성능을 가져갈 수 있는 가성비 게이밍 노트북.
노트북 그래픽은 현재 RTX 2050 < RTX 3050 < RTX 4050 < RTX 4060 < RTX 4070 순서로 성능이 좋다. 각 단계 별로는 설계 전력이나 측정 방법,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20% 정도의 성능 격차가 있는데, 각 그래픽이 장착된 노트북과 성능 격차에 따른 가격 증가를 따져 볼 때 가장 가성비가 좋다고 할 수 있는 그래픽은 단연 RTX 4060이다.
보급형에 이 사양에선 MSI 스워드, HP 빅터스, 에이수스 TUF, 에이서 니트로 또한 고려 대상이다. TUF의 경우 RTX 4050 모델은 가격이 괜찮으나 RTX 4060 모델에서 가격이 뛰고, HP 빅터스 및 니트로는 화면 크기에 이점이 있고 가격은 약간 높은 정도라 고려해 볼 수 있다. MSI 스워드의 경우 큰 화면의 모델을 저렴하게 살 수 있으나, 내구도 이슈가 있고 패널 색 재현율이 낮다.
따라서 보급형 가성비 노트북 중에서는 가격 대비 최대 성능을 볼 수 있는 적당한 퀄리티의 레노버 LOQ 의 RTX 4060 제품을 추천.
HP 오멘 16
고성능에 중점을 둔 게이밍 노트북

HP 오멘 2023 16-xf0052AX
- CPU : AMD Ryzen 7 7840HS
- GPU : RTX 4060 8GB 140W
- RAM : 16GB
- OS : Windows 11 HOME
- 디스플레이 : QHD 240Hz sRGB 100%
- 크기와 무게 : 16.1″ 2.4Kg
- 가격 : 1,579,000원
가성비 보급형 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퀄리티로 만들어진 고성능 노트북
게이밍 노트북은 모든 제조사에서 보급기와 상급기로 구분해서 출시한다. CPU 및 GPU 가 같다면 성능은 거의 동일하므로 가성비를 중요시하는 경우 보급기를 구매하곤 하지만, 상급기에서는 디스플레이 및 쿨링, 키보드 등의 부가적이 퀄리티 향상이 있다. 그리고 중요한 점 중 하나로, 보급기에서는 주로 플라스틱 소재 외관을 쓰고 상급기에서는 금속 합금 소재를 사용해 내구성 차이가 있다.
따라서 데스크탑 대용으로 한 장소에 두고 쓰지 않고, 이동이 잦아 떨어트릴 위험이 있거나 열고 닫는 일이 많아 힌지에 부담이 가는 사용 환경이라면 가성비 제품 보다는 상급기를 구매하는 편이 제품을 오래 사용할 수 있는 길이다.
상급기도 여러 종류가 있어 선택 범주가 넓고, 추천 제품 이외에도 좋은 게이밍 노트북이 많지만, 여기서는 가격 밸런스가 적당한 HP 오멘 16을 추천한다. 성능은 최대 오멘 16 MAX 제품으로 최상급 RTX 5090 그래픽 제품까지 선택지가 있다.
ASUS ROG 제피러스
고성능을 유지하며 휴대성을 확보한 게이밍 노트북

에이수스 ROG 제피러스 G14
- CPU : AMD Ryzen 7 8845HS
- GPU : RTX 4050 6GB 90W
- RAM : 16GB
- OS : Free-Dos
- 디스플레이 : 3K 120Hz DCI-P3 100%
- 크기와 무게 : 14″ 1.48Kg
- 가격 : 1,908,000원
휴대성과 퀄리티 위주로 만들어진 휴대형 게이밍 노트북
성능과 큰 화면 보다 휴대성을 우선시 한다면 선택 기준에서 내구성과 크기가 중요해진다. 따라서 성능만 볼게 아니라 제품 완성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는데 에이수스의 ROG 제피러스가 적당한 선택. 아예 휴대성에 더 집중할 생각이면 태블릿 형태로 출시하는 ROG 플로우까지 고려해 볼만하다.
만약 14인치 휴대용 제품 중 플라스틱 외관 쓰더라도 내구성이 어느 정도 괜찮은 가성비형을 고른다고 하면 에이수스 TUF 14 인치가 적당한 선택일 수 있다.
ASUS ROG 스트릭스 18
최신 RTX 50 그래픽 장착 최상급 게이밍 노트북

에이수스 ROG 스트릭스 스카 18
- CPU : Intel Core Ultra 9 275HX
- GPU : RTX 5080 16GB 175W
- RAM : 32GB
- OS : Windows 11 Home
- 디스플레이 : 2.5K 240Hz DCI-P3 100%
- 크기와 무게 : 18″ 3.48Kg
- 가격 : 5,329,000원
성능에 초점을 맞춰 빌드된 대화면 게이밍 노트북
2025년 출시한 RTX 50 시리즈 중 최상급인 RTX 5090 / 5080 그래픽 카드를 탑재한 제품은 각 제조사의 최고 등급 제품이다. RTX 5080 제품 가격대는 대체로 500만원 선이며, RTX 5090은 700만원 선으로 확인된다.
특별한 이슈가 없는 이상 취향에 따라 고르면 되는데, 작성일 기준으로 쿠팡에서 로켓 배송으로 구매 가능한 ROG 스트릭스의 18인치 제품을 추천한다. 다소 무겁다고 생각되는 경우 16인치도 좋다.
각 제조사의 최상급에 해당하는 노트북 브랜드는 아래와 같다.
- 기가바트 어로스 마스터
- ASUS ROG 스트릭스 (성능형)
- ASUS ROG 제피러스 (경량형)
- HP 오멘 MAX
- MSI 레이더 18 HX
- 레노버 리전 프로
- 아직 미출시 : 레이져 블레이드 / 델 에일리언웨어
게이밍 노트북 구매 가이드
게이밍 노트북 개요
무엇이 게이밍 노트북인가 명확하게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 제품을 말한다.
- 별도의 외장 그래픽 탑재 (주로 RTX 또는 AMD 라데온 RX 그래픽)
- 고성능으로 오래 사용하기 위한 쿨링 설계
- 높은 주사율의 디스플레이 탑재
외장 그래픽을 탑재한 일반 노트북의 경우, 휴대성을 앞세워 쿨링 성능이 게이밍 대비 아쉽게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GPU에 지속적으로 높은 부하를 주는 게이밍 환경에서 요구하는 쿨링 성능이, 필요한 때만 고부하가 걸리는 일반적인 작업 환경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게이밍 노트북은 지속적으로 부하가 많이 걸리는 게이밍, 대규모 3D 모델링, AI 관련 작업 및 비트코인 채굴과 같은 작업용으로 적합하다.
게이밍 노트북의 장단점
장점 | 단점 |
---|---|
높은 성능 좋은 쿨링 | 무거운 무게 높은 전력 소모 높은 최고 소음 |
게이밍 노트북의 단점은 높은 성능에서 발생한다. 성능 최대치가 높다 보니, 고성능 작업을 하면 발생하는 발열을 처리하기 위해 방열판 등 쿨링 장치를 넣어 무게가 증가하고, 이 쿨링 시스템이 작동하면서 큰 팬 소음이 발생한다. (게이밍 노트북으로 문서 작업 등 저 사양 작업을 하면 소음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여기에 추가로, 일반 노트북 대비 먼지 유입량이 높아 매일 쓰는 경우 적어도 1년에 한번은 내부 청소를 해 먼지를 제거해 주는 것이 좋다.
성능 보기
성능은 기본적으로 그래픽 > CPU > 램 을 본다.
게이밍을 위한 게이밍 노트북을 고를 때 가장 성능 영향이 지대한 것은 그래픽 카드이므로 먼저 본다. RTX 4060 에서 40은 세대, 60은 등급을 의미하므로 같은 세대라면 등급이 높은 그래픽 카드가 성능이 더 좋다. 다만 여기서 AMD 라데온 그래픽 및 이전 세대와 다음 세대 등을 비교할 때는 다소 복잡해지는데, 노트북 그래픽 성능 순위 등을 확인하면 대략적인 그래픽 수준을 알 수 있다.
그 다음은 CPU인데, 높으면 좋긴 하나 다소 복잡하기도 하고 기본적으로 제조사에서 GPU에 맞게 적당한 것을 달아둔다. 작업용이라면 멀티코어 성능, 게이밍에서는 싱글 코어 성능이 높으면 유리하긴 하다. 수준 참고는 노트북 CPU 성능 순위를 보면 되긴 하나, 2024년 기준이라 갱신 예정이다.
그 다음으로는 RAM이다. 대부분 16GB에서 충분하긴 한데, 고사양 스팀 게임 중 최적화가 덜 되거나 사양이 매우 높은 게임(예: 호그와트 레거시)을 그래픽 품질 높여서 돌리는 경우 램 사용량이 16GB를 초과하기 때문에 엔드급 스펙 노트북에서는 32GB가 권장된다. 그 외 작업 용이라면 더 증설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보기
디스플레이는 기본적으로 크기 > 해상도 > 주사율과 색재현율을 본다.
디스플레이 크기가 클 수록 좀 더 쾌적하게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으나 비례해서 무게가 증가하므로 조율이 필요하다. 데스크톱 대용으로 그냥 한 곳에서만 쓸 생각이라면 크고 무거운 제품을 사도 무방하다. (참고 : 노트북 인치 확인 방법)
해상도는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점의 갯수로, 높을 수록 화질이 좋지만 그만큼 화면 계산을 위한 GPU 성능을 더 쓰기 때문에 장단이 있다. 즉 해상도가 낮을 수록 게임의 프레임이 더 잘 나온다. 다만 화질 상승으로 높아진 요구치를 게임 내 그래픽 옵션 조절로 조정 가능하므로 특별히 원하는 수준이 없다면 제품에 맞게 달아둔 해상도 그대로 쓰면 되겠다.
주사율은 hz 단위로 표시되며, 1초에 화면이 갱신되는 수를 의미한다. 높을 수록 화면이 더 부드러운 느낌이 들며, 특히 화면에 온 신경을 집중해야 하는 FPS에서 프레임 차이에 따른 퍼포먼스 변화가 있다. 거의 모든 게이밍 제품이 FPS 기준인 144hz는 맞춰져 있고, 상위 제품은 240Hz이며, 게이밍 제품이 아닌 일반 모니터는 60hz이다.
마지막으로 색재현율은 게임 퍼포먼스와는 다소 무관하나, NTSC 45%의 경우 색 표현이 낮은 수준의 저가 패널, sRGB 100%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패널 DCI-P3가 넓은 색영역을 가져 더 많은 색상 표현이 가능하다.
그 외의 사항
각 제조사 별로 상급기 / 하급기로 제품이 구분되어 있는데 제조사마다 구분 기준은 다르나, 보통 하급기의 경우 외관 소재가 강화 플라스틱이며 상급기 대비 디스플레이 퀄리티 및 키보드 LED 등 옵션이 몇 가지 다운 그레이드가 있다.
그리고 제조사 별로 성능형 / 휴대형으로 나누는 경우도 빈번한데, 성능형에서는 다소 무겁더라도 설계 전력을 높게 잡고 최대성능을 내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휴대형에서는 설계 전력을 낮춰 최대 발열량을 낮춘 뒤 쿨링 시스템의 무게를 줄여 휴대성을 챙긴 제품이다.
다음은 각 노트북 제조사가 게이밍 노트북을 분류하는 방식이다.
분류 | 제품 |
---|---|
상급기 | 레노버 리전 에이수스 ROG 에이서 프레데터 MSI 타이탄 / 스텔스 / 레이더 기가바이트 에어로 / 어로스 HP 오멘 델 에일리언웨어 레이저 블레이드 |
중급기기 | MSI 벡터 / 크로스헤어 / 펄스 / 알파 / 브라보 |
하급기 | 레노버 LOQ 에이수스 TUF 에이서 니트로 MSI 소드 / 씬 / 사이보그 기가바이트 G HP 빅터스 델 G시리즈 |
정확히 나뉘는 것은 아니고, 제조사마다 분류 기준이 약간씩 다르므로 참고. 제품 브랜드 내에서 다시 등급이 갈리는 것도 흔하다.
더 쓸 것이 있긴 한데 일단 여기까지 한다. 추가 정보는 아래 글 참고.
추가로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